운암장

흙과 숲이 주는 선물에 감사하며 살기

성품밝고 즐거운 집

식물원·정원·산·숲 /한밭수목원

131208풍경2 - 장미원

우남55 2013. 12. 20. 23:48

한밭수목원 풍경2 - 장미원

2013. 12. 8.

 

 

한밭수목원은 동원 입구를 들어가면 바로 장미원을 통과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길도 넝쿨장미를 견인해 올릴 수 있게 아치모양의 나무 기둥을 세웠습니다.

 

장미원은 대체로 좌우대칭형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가운데 통로를 기준으로 좌, 우에 멋진 파고라를 지어 놓았습니다.

 

장미원은 이미 겨울 준비가 끝나 있습니다.

추위에 약한 징미인듯, 짚으로 방풍책까지 쳐 놓았습니다.

 

장미는 기온이 섭씨 5도 이하로 내려가면 생육이 정지되고 영하가 되면 휴면에 들어간다고 합니다.

보통 우리가 장미라고 하면 의례 6월에 피는 넝쿨장미(덩굴장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영하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사철장미로 많이 개량되어 있다고 합니다.

장미원에는 넝쿨장미도 있고 사철장미도 있는 듯 합니다.

 

대다수의 장미 원산지는 아시아라고 합니다(원종).

원종을 이용한 교잡종을 현대장미라 한다고 하는데, 그 종류가 수 만 종에 이르고 지금도 계속 새로운 품종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돈을 지불하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이름을 지어받을 수 있는 것이 사실 장미입니다.   

약 3만여 종의 장미 품종이 특허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잘 정돈되어 있는 장미원을 보니 에버랜드에 갔었던 지난 날이 생각납니다.

흥미로운 것은 에버랜드에서 장미축제를 준비할 때 가장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이 꽃이 시든 장미줄기를 잘라주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사철장미는 이미 시든 장미줄기를 부지런히 잘라주어야 새로운 꽃대가 올라오기 때문에 싱싱한 꽃을 계속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장미재배에 있어 전정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장미원 입구>

 

<장미원 우편의 파고라, 짚으로 만든 방풍책이 보기 좋습니다>

 

<장미원 좌편의 파고라> 

 

<장미 모양의 강철 조형물>

 

<파고라의 루미네이션>

 

 

기울어 가는 햇살이 파고라의 지붕에 뚫어 놓은 기하학적 무늬의 틈으로 들어와 반대편 벽면에 비취니 마치 등불을 켠 듯합니다.

루미네이션 효과가 나 아름답습니다.

 

<우측 파고라에서 좌측 파고라를 본 모습>

 

<철판에 구멍을 뚫어 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