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생식물원 - 괴불주머니와 현호색 한국자생식물원 - 괴불주머니와 현호색 2014. 3. 2. 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4- 5월에 꽃피는 두해살이풀입니다. 열매의 씨 부분이 염주모양으로 볼록 튀어나와 이런 이름을 얻었었습니다. 입술모양의 노란 꽃이 층층히 모여서 피는데 뒷부분은 꿀주머니로 되어있어 맛을 보면 약한..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4.03.02
한국자생식물원-꽃양귀비 한국자생식물원-꽃양귀비 양귀비의 꽃말이 재미있습니다. 흰 양귀비는 "잠", "망각", 붉은 양귀비는 "위로", "위안"이구요. 자주색 양귀비는 "사치", "환상"이며, 개양귀비는 "무관심", "냉담"이라고 한다네요. 사진에서 보는 이 아이들은 흰 꽃이니 "잠"이군요. 모든 걸 잊어버리고, 이만 잠이..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20
한국자생식물원-미나리아재비 한국자생식물원-미나리아재비 산이나 들판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의 끝에 노랑색의 꽃이 핀다. 꽃잎은 5장, 광택이 있다.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20
한국자생식물원-산마늘 한국자생식물원-산마늘 백합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분포지는 울릉도와 중, 남부 지방의 깊은 산 숲속이다. 굶주린 울릉도 사람들의 명을 이어주었다고 하여 울릉도에서는 명이나물이라고도 부른다. 긴 꽃줄기 끝에 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면서 흰 꽃이 핀다. 봄에 연한 잎을 생으로 초..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20
한국자생식물원-동의나물 한국자생식물원-동의나물 동의나물은 미나라아재비과 식물이다. 따라서 독성이 있어 함부로 먹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잎의 모양은 곰취와 유사하여 구별하기 쉽지 않다. 산 속의 습한 곳에서 자라며 3-4월에 새싹이 나고 4-5월에 별 모양의 꽃이 핀다. 나물로 먹지 못하는데 이름에 '..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15
한국자생식물원-앵초 앵초 산지의 물가 근처에서 자라며 4-5월에 꽃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보통 군락을 이룬다.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각각의 갈래조각은 끝이 오목하게 패면서 하트모양을 이룬다. 봄에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그러고 보니 우리 산야에서 자라는 풀들, 나..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13
한국자생식물원-금낭화 한국자생식물원-금낭화 금낭화는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따라서 유독성 식물이라 함부로 먹을 수 없다. 강원지방에서는 봄에 어린순을 물에 담가 독성을 제거한 뒤엔 나물로 먹는다는데 이를 며늘취나물이라 한단다. 그런데 강원도 태생인 나는 아직 이 나물을 보거나 먹어보지 ..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13
한국자생식물원-새우난초 한국자생식물원-새우난초 남부지방 숲에서 4-5월에 꽃피는 여러살이풀이다. 뿌리줄기에 새우 등처럼 생긴 마디가 붙어 있어서 새우난초라 불린다. 30-50cm로 자란 꽃줄기 위쪽에 술 모양의 꽃차례에 8-15개의 꽃이 느슨하게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이며 곁꽃잎은 꽃받침 ..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10
한국자생식물원-자란 자란 전시온실 안으로 들어서면 분경관과 만나게 된다. 분경관은 꽃이 크고 화려한 서양 꽃에 비해 꽃잎이 다소 작고 소박한 우리꽃의 특징을 살려 나무나 돌, 화분 등에 우리나라의 자생 야생화를 심어 전시한 공간이다. 분경관에서 만난 야생 난초에 홀려 나는 이곳에서 무려 한 시간 동.. 식물원·정원·산·숲 /한국자생식물원 2013.03.08